본문 바로가기
생생이슈통

이별에 앞서 지켜야할 예의

by 생생이슈통 2019. 3. 16.
반응형


1. 생각을 정리할 시간을 충분히 가지기

정말 사랑하는 연인 사이에도 가능은 있기 마련이죠
그러나 이러한 갈등 상황에서 욱하는 감정으로
헤어짐을 절대 말하면 안됩니다.
'내가 과연 이 사람과 이별을 하고 싶은가?'
여러 번 곰곰히 생각하면서 본인의 진짜 마음을
오래 들여다 볼 필요가 있습니다.

2. 상대방에게 '이별을 암시' 해줘야 한다.

연애는 혼자만 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 잊지마세요

이별을 결심했다면 상대에게도 우리의 연애가 이별로

흘러가고 있음을 미리 암시해야합니다. 혼자 마음 정리

다 하고는 상대방에게 일방적으로 이별을 통보하는 행위는

보이지 않은 폭력과도 마찬가지 입니다.


3. 이별은 반드시 얼굴을 마주하고 한다.

한 때 사랑했던 사람에게 또 여전히 나를 사랑하고 있는
사람에게 이별을 말하는 일은 늘 어렵기만 하죠
그래서 자기 마음이 덜 아프고자 문자나 전화, 잠수로 이별을
고해버리는 사람이 종종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더
힘든 건 이별을 통보하는 사람이 아닌 이별을 통보받는
사람이란 걸 기억하셔야 합니다.

4. 이별을 결심한 이유를 솔직히 말한다

"이제 네가 싫어졌어", "다른 사람이 좋아졌어" 등
이별의 이유를 정확히 말해줘야 합니다.
이유를 모르는 것만큼, 혹은 거짓된 이유에 속아서
자책하는 것만큼 상대를 괴롭게 하는 일은 없습니다.

5. 미련을 남기면 안될 것

"널 잊지 못할 것 같아", "너보다 좋은 사람은 못 만날 것 같다" 등
자기 방어를 위한 포장으로 상대를 희망 고문에
빠트리지 마세요. 헤어지는 마당에 상대방에게 '나쁜 사람' 이
되기는 싫고 '좋은 사람' 으로 기억되고 싶은 마음은 잔인한 것,
못된 것 입니다.

6. 상대의 이별도 존중해줘야 한다.

이별을 통보한 후에 우리 사이는 이제 '끝'이라면서
일방적으로 상대를 차단해버리면 안됩니다.
이별을 통보받은 상대가 하는 말과 우는 모습, 매달리는 행위 등을
일정부분 지켜봐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상대도 이별을 받아들이는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7. 애도의 시간을 충분히 갖을 것

'사람은 사람으로 잊는다'면서 바로 새 연애에 급급해선
안됩니다. 그것은 당신과 이제 막 헤어진 상대에게도
예의가 아닙니다. 이번 연애를 다시 곱씹고 반성하면서
깨닫고 나아가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비슷한 이유로 또 다시 상처주고, 상처받으며
이별하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